티스토리 뷰

최근 코로나19로 인해서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비대면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는 가운데 '스마트 헬스케어'의 주제로 시리즈로 글을 이어가려고 한다. 오늘은 ep01 첫 번째로 스마트 헬스케어의 정의(뜻)와 스마트 헬스케어의 범위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스마트-헬스케어-의료정보-공부-정의-범위-알아보기-참고사진
스마트 헬스케어 ep01 정의(뜻)과 범위 알아보기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정의(뜻) 알아보기

 

 

일반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olud) 등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서 개인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맞춤형 의료 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뜻한다.

 

과거에도 헬스케어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개념이 있었는데 최근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성장으로 과거보다 더욱더 지능화되어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보건정보기술, 웨어러블 기기, 원격의료와 원격진료, 개인 맞춤형 의료와 같은 범주를 포괄하는 넓은 범위의 개념까지 포함하는 용어로 스마트 헬스케어라고 하기도 한다.

 

가까운 과거의 치료, 병원 중심에서 사전 예방, 건강관리, 맞춤형 헬스케어로 패러다임이 급속히 전환되는데 이유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매우 컸다. 사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의료비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분 Tele-헬스 e-헬스 u-헬스 Smart-헬스
시기 1990년 중반 2000년 2006년 2010년 이후
서비스내용 병원 내부 치료 치료 및 정보제공 치료/예방 관리 치료/예방/복지/안전
주 Player 병원 병원 병원, ICT 기업 병원, ICT 기업, 보험사, 서비스 기업 등
주 이용자 의료인 의료인, 환자 의료인, 환자, 일반인 의료인, 환자, 일반인
주요 시스템 병원운영
(HIS, PACS)
의무기록(EMR)
웹사이트
건강기록(EHR)
모니터링
개인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서비스

< 헬스케어와 디지털 기술 융합을 통한 진화 과정 > - 출처 : 산업부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범위 알아보기

 

 

스마트 헬스케어의 기술융합·연계를 통해 구현되는 특성에 따라 구성요소를 데이터, 플랫폼, 디바이스로 구분을 할 수 있다.

 

1. 데이터

- 유전정보, 생활습관 등 건강정보, 의료정보 등 개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 분야

 

2. 플랫폼

-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등을 활용해서 유용성 분석 결과를 도출하여 다양한 의료, 건강관리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분야

 

3. 디바이스

- 건강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개인건강관리(의료)기기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하는 웨어러블 기기 분야

 

구분 데이터 플랫폼 디바이스
설명 유전정보, 생활습관 등
건강정보, 진료정보 등
개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
- 의료정비관리 플랫폼/DB
: 의료기간 의료정보 통합 저장, 관리
- 개인건강정보관리 플랫폼/DB
: 건강의료정보 통합 저장, 관리
- 건강정보 제공 앱
: 일반적인 의학정보, 운동정도, 영양정보 등 건강정보 제공
- 맞춤형 건강관리 앱
: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해 맞춤형 건강관리 제공
- 개인건강관리기기
: 건강관리용 건강생체 신호 측정의료(기기)
- 웨어러블 기기
: 건강증진,개선을 위해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을 하는 기기
제품
용도
  - 웰니스 앱
- 영양관리 및 정보 제공 앱
- 의학적 정보(약품, 질병, 복용량 등) 제공 앱
- 개인 건강기록(PHR) 앱
- 병원기록 관리 앱
- 피트니스 또는 운동 관리 앱
- 혈당, 협압, 심전도, 활동량 측정
- 요화학(소변) 분석
- 체성분/체지방 측정
- 현장검사 기기(POCT)
- 의료용 센서 삽입 스마트 기기
- 밴드/목걸이형, 부착형, 인체삽입형

< 스마트 헬스케어 구성요소, 관련제품 및 용도 _출처 : 2017년 산업연구원 >

 

 

참고로 아래의 글로 '나의건강기록' 앱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위 표에서 언급된 내용 중에 개인건강기록(PHR) 앱에 대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큰 도움이 된다.

 

 

나의건강기록 앱 - 개인 건강 기록(PHR) 흩어져있는 건강정보를 한눈에

2021년 2월 24일 정부는 대국민 브리핑을 통해서 '마이 헬스웨이(의료분야 마이 데이터) 도입 방안'과 '나의건강기록 앱' 출시를 발표했다. 이 앱의 관계 부처는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sjkhy4539.tistory.com

 


글 참고 문헌 :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동향브리프 "스마트 헬스케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