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글로벌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영세한 전기공가업계가 위협적으로 타격을 받고 어려운 상황이다. 전기공사 기업들은 핵심자재인 구리, 철 등의 가격이 1년 동안 2배가 올랐다. 일을 하면 할수록 더 손해를 받는 민수 공사는 더 힘에 겹다.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기공사업계-전기공사기업-원자재-가격-상승-위기-어렵다
구리로 된 전기 전선의 모습 참고 사진

 

 

민간 건설 공사 현장의 공사 계약 구조의 하도급 계약의 안전장치가 없다

 

2022년 4월경에 호남과 제주 지역의 건설현장이 셧다운 될 수 있다는 국내 언론의 보도가 있었다. 전라도와 제주도의 아파트 등의 건설 현장이 모두 업무가 전면 중단되고, 마비되는 걱정스러운 보도였다. 실제 해당 지역 건설 현장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회사들이 일제히 공사 전면 중단을 선언했었다.

 

이들 업체들은 일을 하면 할수록 손해를 보는 하도급을 받는 구조의 회사들로 발주처와 원청사들은 손해를 안 보고 하청 업체들만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고스란히 다 받아야 한다고 했었다.

 

철근과 콘크리트만의 자재 부분에서만 문제는 아니다. 모든 자재 가격이 상승을 함에 따라 크게 관련이 되어 있는 하도급 업체나 작게 관련이 되어 있는 하청업체 모두 이런 건설 공사 현장의 계약 방식이 불리하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했었다.

 

이런 일이 가장 크게 터진 곳은 한국의 가장 큰 재개발 공사가 진행 중이었던 서울 둔촌주공 재개발 현장이었다. 건설현장의 공사비는 그대로이고 건설 공사는 계약과 준공 사이에 크게는 몇 년 이상의 시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그 사이에 요즘처럼 전쟁과 자연재해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그 감당은 바로 하도급, 재하청을 받는 회사들이 해야 한다.

 

공공 공사에서는 에스컬레이션이라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있지만 민간 공사에서는 이런 제도적 완충 장치가 거의 없다. 실제 건설 현장은 민간 공사가 공공적 공사보다 더 많이 있는데 참 아이러니하다.

 

 

전기공사업계 더 큰 리스크를 겪고, 규모가 작은 영세 기업은 더 타격이 크다.

 

오늘의 주제인 전기공사업체들은 앞서 언급한 건설 현장의 철근, 콘크리트 원자재로 인한 문제보다 더 위혐한 리스크로 곤경에 쳐해있다고 한다. 주요 국제 구리 가격의 상승폭이 다른 건설업계 원자재의 상승폭을 더 크게 상회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공사의 문제만 아니라 전력 기자재 제조기업의 어려움도 점차 커지고 있다.

 

구리 가격의 흐름은 코로나 사태로 조금 진정세를 보였으나 2021년 2월 국제 구리 가격이 1톤당 9000달러를 돌파해버렸다. 2011년 이후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더욱 크게 올라서 2분기에는 1톤당 10000달러를 돌파한다. 1년 만에 원자재 가격이 2배가 오른 것이다.

 

그래서 전기공사업계는 직격탄을 맞게 된다. 이들 업체들은 구리로 된 전선이 주재료이기 때문이다. 구리 가격이 오르니 전선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시공회사와 자재 판매회사 모두 경영난에 빠지고 마땅한 대책이 없는 것 같다.

 

큰 전기공사 회사들은 전선 등의 자재들의 비축분으로 버티기라도 하지만 영세한 작은 업체들은 높아져버린 원자재 가격에 넋 놓고 하늘만 바라보는 입장이 되어버렸다. 전기 부품 제조기업들도 마찬가지였다. 배전반, 개폐기 등 중전기기 업계의 경우 철판 품귀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런저런 해결되지 못하는 리스크로 매출에 중대한 공사 계약 수주를 망설이고, 계약 수주를 하면 손해라는 말만 나온다고 한다. 그래서 계약을 포기하는 기업들도 있다고 한다. 작은 개미가 어떻게 큰 흐름을 바로 잡을 수 있을까?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이구동성 바라는 업체들은 막막하기만 하다.

 


글 참고 뉴스 기사 : 전기신문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862 

728x90